보도자료

공지사항 보도자료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대한 입장

작성자대전교총

  • 등록일 25-09-16
  • 조회2회

본문

피해응답률 증가세·학교장종결제 비율 감소 우려!

원인 파악과 맞춤형 대책 마련 필요

대화·화해·관계회복 보다 교육의 사법화 현상 가속화 아닌지

26학년도 학폭조치 대입반영 의무화학교폭력조사관제 시행

효과성 파악·개선방안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학교폭력 범위‘ 교육활동 중으로 제한 학폭법 개정 촉구

 

1. 16교육부는‘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 이후 계속해서 증가세에 있고언어폭력의 비중이 높고집단따돌림사이버폭력성폭력 증가 특징을 보였다.

 

2. 2023학년도와 2024학년도 학교폭력 사안 접수를 비교하면, 2024년 사안 접수 건은 58,502학교장종결제는 30,667(52.4%), 2023년 사안접수건은 61,445학교장종결제는 37,866(61.6%)으로 나타났다

 

3. 이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강주호)는 ··고 학생 326만 명이 참여한 조사 결과피해 응답률이 2020년 코로나19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2023년 대비 2024년 학교장종결제 비율이 9.2%나 떨어져 우려스럽다며 매번 반복되는 결과인 언어폭력 비중 강세사이버폭력집단따돌림딥페이크 등 성폭력 증가세에 대해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4. 교총은 학교폭력 사안 접수 건수를 보면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학년도에 온라인 수업 등의 영향으로 2만 5,903건이던 것이 2021학년도 4만 4,444, 2022학년도 5만 7,981, 2023학년도 6만 1,445건으로 점차 늘다 2024학년도에 58,502건으로 소폭 감소한 것은 고무적이다라고 분석했다

 

5. 한편 진선미 의원이 지난 7일 교육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초··고 학교폭력 현황자료에 따르면 학교장 종결제 비율이 2023년 61.6%에서 2024년 52.4%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교총은 학교장 종결로 처리한 사안의 감소세가 2024년에 한한 것인지 계속 살펴봐야 한다면서도 학교장종결제 비율이 계속 떨어진다면 화해관계 회복 등 교육적 해결보다는 교육의 사법화 현상이 학교폭력에서도 가속화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6. 교총은 학교폭력 사안은 피해자 중심주의 원칙에 기반해 엄중히 대응해야겠지만교육부 2024년 학교폭력 사안 접수 통계를 분석해 보면 심의 결과 학교폭력 아님 결정이 총 5,246건으로 전체 사안 접수 건수 대비 8.96%에 달했다.”며 이처럼 학폭아님 결정에 관한 사례집도 학생학부모교원에게 제공해 무조건 학교폭력 신고나 문제 제기로 나아가는 경우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7. 교총은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높아지는 주요 이유로 교육부가 밝힌교육·미디어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폭력 인지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에 대해 여러 요인 중 하나일 수 있지만, 320만 명이나 참여한 학생들이 교육·미디어 등 외부요인만으로 피해 응답률이 높아질 수는 없다며 실제 접수 건을 확인하면 여전히 매년 56만 건 이상 발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밝혔다

 

8. 더불어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나타난 결과에 대해 더욱 구체적인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언어폭력의 비중이 높고집단따돌림사이버폭력성폭력 증가 특징은 매년매번 발표하는 경향성이다며 그렇다면 거기에 맞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맞춤형 대책이 마련돼 실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9. 교총은 학교폭력 관련 법제도의 개선도 촉구했다먼저 학교폭력 피해 장소의 27.1%가 학교 밖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만큼수사권도 없는 교원이 가정과 학원 등 외부에서 발생한 사안까지 조사처리하게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학교폭력의 범위를 학교 내외가 아닌 교육활동 중으로 제한하는 학교폭력예방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10. 아울러 정부가 4월 발표한 5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의어울림프로그램 확대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자료 제공 확대관계회복 숙려기간 도입학생맞춤통합지원 강화 등 일련의 대책들이 아직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면서 학교가 직면한 구조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1. 강주호 한국교총 회장은 학교폭력조사관제도가 도입이 되었지만 학교폭력 발생 초기 단계에서 학부모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등 학교폭력 관련 업무는 여전히 교원들의 기피업무 0순위라면서 매년매번 발표되는 비슷한 결과에 우리 모두 점차 둔감해지는 것은 아닌가 걱정된다고 밝혔다.

 

12. 이어서 강회장은 학교장 종결제를 통한 관계 회복 등 교육적 해결이 가능한 사안과 사법적 영역으로 다뤄야하는 심각한 학교폭력 사안이 공존하는 학교의 현실을 고려하여 이재명 정부에서는 기존 학교폭력대책 수준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서로 23 (3층) ㅣ 사업자등록번호: 305-82-20154 ㅣ (우 : 34865)Tel : 042.638.6166-6168 ㅣ Fax : 042.638.6169 l E-mail : dfta@kfta.or.kr
Copyright ⓒ 대전광역시교원단체총연합회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로그인 make24 바로가기